얼마 전 부모님 두 분 모두 기초노령연금 대상이 되시어 서류를 준비하여
동사무소에 가셨다.
기초 노령연금이란 전체 노인의 70%에게 매월 일정액의 연금을 드려서
국가발전과 자녀 양육에 헌신해 온 노고에 보답하려는 제도이다.
기초 노령연금제도는 생활이 어려운 어르신에게 매월 연금을 드려서 노후생활
안정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.
물론 큰 돈은 아니지만 해당이 되신다하니 참 잘된 일이라 생각했다.
하지만 서류를 준비해 가까운 동사무소에 접수하러 간 어머니께서는 거절을 당하셨다.
동사무소 직원 曰 " 의료보험을 조회해 보니 취업한 걸로 되어 있어 신청할 수 없다" 는 것이었다. 아버지께서는 얼마 전 퇴직을 하시어 언니의 직장 의료보험에 피보험자로 등록되어 있었다.
취업한 것이 아니라고 해명을 하셨지만 되돌아 오는것은 안된다는 말 뿐이었다.
동사무소 직원은 직장 의료보험으로는 신청이 안 되니 지역의료보험으로 다시 등록을 하시고 기초 노령연금을 신청하라고 했다.
하지만 연금 보험 관리 공단에 문의 한 결과 기초노령연금은 의료보험과은 아무런 관계가 없고 자녀 앞으로 올리든 지역 의료보험이든지 간에 신청 가능하다고 했다.
그러나 동사무소 직원 말인 즉 빨리 지역의료보험에 가입하시고 신청하셔서 노령연금을 받으라는 것이었다.
그런 법이 어디있냐고 따졌지만 동사무소 직원은 그건 자기도 잘 모르겠다고만 했다.
국민의 세금으로 월급받는 사람으로써 이 얼마나 성의없는 대답인가?
결국 아버지까지 찾아가셔서 항의? 하고 구청에 FAx를 보내고 어쩌구 저쩌구하여 동사무소 방문 네번째 만에 기초 노령연금을 신청할 수 있게 되었다.
법에 대해 잘 모르는 노인네라고 무시하는 건지( 사실 우리 엄마께서는 법에 대해서는 나름 해박하시다.^^ ) 아님 부모님께서 잘 모르셔서 그런건지는 모르겠지만 같은 나라에서 시행하는 제도인데 여기서 말 다르고 저기서 말 다르니 어떻게 된 노릇인지 모르겠다.
동사무소에서 일하시느라 여러 바쁜 업무가 많으시겠지만 이 제도가 연로하신 분들의 노고에 보답하는 제도이니 만큼 조금더 신경써 주시고 보다 많은 노인분들이 받으실 수 있게 도와주신다면 좋으련만 참 안타깝다.
뒤늦게 이 사실은 알고 어찌나 뒷골이 땡기고 화가 나는지 미리 챙겨봐 드리지 못해 죄송할 따름이다.
어찌되었건 앞으로 우리 부모님같은 피해자?가 생기지 않기를 바랄뿐이다.
<기초노령연금>
○ 신청대상 : 만 65세(44년생) 이상
○ 선정기준
- 1인기준 : 소득인정액 680,000원 이하
- 2인기준(부부세대) : 소득인정액 1,088,000원 이하
※ 소득인정액 = 소득금액 + 재산의 소득환산액
재산의 소득환산액 = (재산-부채) × 소득환산율(5%) ÷ 12개월
○ 지급기준
- 1인기준 : 소득인정액에 따라 20,000원 ~ 88,000원 차등지급
- 2인기준(부부세대) : 소득인정액에 따라 40,000원 ~ 140,800원 차등지급
○ 신청장소 : 거주지 읍면사무소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
○ 구비서류 : 신분증, 본인계좌 통장사본, 금융정보제공동의서(자필서명), 기타
기초노령연금 홈페이지 http://bop.mw.go.kr/mohwinfo/info/sub02.htm
보건복지가족부콜센터 129번, 국민연금통합지원센터 1355번
'이것저것 > 그거 아니?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ebpages as Graphs (12) | 2009.05.28 |
---|---|
범칙금과 과태료 (8) | 2009.05.22 |
주·정차 위반 과태료 : 자진납부할 경우 20% 감경됩니다 (4) | 2009.05.13 |
MBTI (성격유형검사) 해볼까요? ^^ (12) | 2009.04.29 |
지하철 9호선 드디어 개통되다. (17) | 2009.04.28 |
기초노령연금 받기 (9) | 2009.04.27 |
보육료지원 대상확인 서비스 (4) | 2009.04.11 |
건망증 테스트 _ 자꾸 깜박하며 할 일을 잊으시나요? (11) | 2009.04.09 |
주민등록번호 자리별 규칙 (외국인등록번호 국내거소신고번호 조합주민번호(실명번호) 규칙 포함) (17) | 2009.02.12 |
연말정산 환급금 (환급액) 지급일 (7) | 2009.02.02 |
상속순위의 간단한 풀이 (2) | 2009.01.23 |
댓글을 달아 주세요
흠....저도 알아봐야겠네요.
2009.04.10 15:32 신고 [ ADDR : EDIT/ DEL : REPLY ]저희 부모님이나 장인장모님 연세가 있으시니.
직업만 없으면 되는건가요? 그리고 해당되는 연세가 언제부터인지?
재산과도 관계가 있는 걸로 알고 있어요..
2009.04.10 15:46 [ ADDR : EDIT/ DEL ]사실 저도 잘 모르거든요 지송~~ ㅎㅎ
홈페이지 가서 보시거나 전화로 문의하면 알려준답니다.
아깐 파란글씨라 못봤어요 ^^*
2009.04.10 21:35 신고 [ ADDR : EDIT/ DEL : REPLY ]저희 아버님도 2년 있으시면 받으시겠네요. 정보감사합니다.
즐거운 주말 보내세요~!! ^_^
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기쁩니다
2009.04.11 08:22 [ ADDR : EDIT/ DEL ]공무원들이 조금 더 친절했으면 좋겠어요~~
2009.04.13 11:31 신고 [ ADDR : EDIT/ DEL : REPLY ]노인분들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저희들도 잘 모르는 일을 노인분들이
하나하나 다 챙기기는 너무 어려운것 같아요~~
좀 더 친절하게 공무원들이 설명하고 도와준다면 좋을것같아요~~
맞아요.. 이번에 그 공무원 때문에 맘이 많이 상했습니다.
2009.04.13 13:01 신고 [ ADDR : EDIT/ DEL ]열심히 성의껏 잘 하시는 분들도 있지만.. 이런분들 몇몇 때문에.. 공무원 전체가 욕 먹는거 같아요~ ^^
비밀댓글입니다
2009.08.22 19:07 [ ADDR : EDIT/ DEL : REPLY ]글쎄요.. 저도 전문가가 아니라서..
2009.08.29 08:54 신고 [ ADDR : EDIT/ DEL ]그냥 제 생각인데.. 통장으로 받지 말고 직접 수령하는건 안될까요? ^^
별로 도움이 되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.
노령연금 준다고 1인 독거노인분께 한달에 고작 2만원~8.8천원 이거좀 짜다
2010.09.11 18:11 [ ADDR : EDIT/ DEL : REPLY ]마니좀 주지 ㅎ 2만원받는 분도 계실건데 ㅡㅡ; 한달에 2만원으로 뭐할수있죠?